수도 | 마나마(Manama) |  |
---|
인구 | 123만명(2010), 시민권자: 57만명, 외국인: 66만명 |
---|
면적 | 712㎢(36개 도서로 구성) |
---|
언어 | 아랍어(영어 통용) |
---|
종교 | 이슬람교(수니파 25%, 쉬아파 60%) |
---|
독립 | 1971년(영국으로부터 독립) |

아라비아만의 진주라고 불리는 바레인은 아랍어로 “두 개의 바다”를 의미한다. 7세기 이슬람화 되기 전까지 바레인은 고대 이란의 왕조인 파르티아와 사산조 페르시아의 통치를 받았다.
7세기 이후 아랍 무슬림 통치를 받아온 바레인은 1521년 인도양에 이르는 항로를 개척한 포르투갈에게 정복되어 약 80년간 포르투갈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이후 19세기 초까지 바레인의 지배권을 대상으로 포르투갈, 오만, 페르시아, 오스만, 영국 등 강대국들과 아랍 부족인 알 칼리파 가문이 경쟁하였다.
9세기 초에, 걸프 지역에서 영국의 패권이 관철되었고, 1820년 영국과 알 칼리파 가문이 앵글-바레인 협정을 체결하면서, 알 칼리파 가문은 바레인에 대한 통치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이후, 바레인은 영국의 걸프 지역 통치를 위한 중심지가 되었으며, 인도대륙 진출을 위한 교두보가 되었다. 이로 인해 영국은 바레인에 대한 광범위한 지배권을 행사하기 시작하였다.
알 칼리파 가문은 1861년, 1880년, 1892년에 영국과 보호 협정을 체결하면서 외교권을 영국에게 양도함으로써 영국의 식민지배 체제로 통합되었다. 이 조약들을 통해서, 알 칼리파 가문은 영국만이 걸프 해상을 자유롭게 왕래하도록 허가하는 대신, 영국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바레인 해상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다른 국가로부터의 공격을 막아줄 것을 약속하였다.
1932년 석유가 발견되면서 본격적인 근대화로 접어들게 된 바레인 근대사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게 된다. 바레인은 사우디아라비아와 다른 이웃 산유국에서 발생한 오일붐을 이용해 바레인을 걸프 해의 중요 무역중계 지역으로 성장시켰다. 그러나 세계 2차 대전 이후 1950년대 아랍민족주의의 여파로 반 영국 분위기가 고조되자 1971년 영국군의 수에즈 이동 철군과 함께 족장 겸 왕이었던 셰이크 이사 이븐 살만 알 칼리파의 주도로 바레인은 그 해 8월 14일 독립을 선언하였다.
하마드 빈 이사 알칼리파 국왕
바레인은 입헌 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하마드 빈 이사 알 칼리파가 1999년 3월 즉위 이후 현재 국왕으로 있다. 1973년 의회구성을 승인하는 신헌법이 발효되고, 2002년 2월에 입헌군주제 도입, 정치범 석방, 여성 투표권 보장, 국회의원 선거 실시 등 일련의 정치개혁을 단행하였지만, 국왕은 여전히 국정 전반에 걸쳐 큰 권력을 지니고 있으며, 왕실 일가가 국토의 80%와 고위관료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국회의원의 수는 40명이고 임기는 4년이다. 바레인에서의 정당 설립은 금지되어 있다.
바레인 정부는 1990년대 초반부터 미군과 군사협력을 체결하고 미군에게 군사 기지를 제공해오고 있다. 수도 마나마에 위치한 미군 기지는 중동지역 내 최대 규모의 미국 해군기지이다.

IMF의 2008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바레인의 1인당 GDP는 25,731달러로 세계 30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아랍 국가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바레인의 경제는 정부가 석유, 알루미늄 등의 기초 산업을 통제하는 혼합경제 형태이다.
1970년대 오일 붐과 레바논의 내전으로 바레인은 베이루트를 대체하는 중동무역의 허브로 성장했고, 바레인 국제공항은 1998년 기준 연간 340만 명의 승객과 12만 5000톤에 달하는 화물을 운송하는 페르시아만 지역에서 가장 이용도가 높은 공항이 되었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알루미늄 제련소를 보유하고 있다.
1932년 바레인은 걸프만의 아랍국가 중 최초로 원유를 생산했고 바레인의 석유 수입은 국민의 삶의 질의 획기적인 개선과 함께 석유 수입에 대한 수익을 함께 향유할 수 있도록 했다. 바레인의 원유 수출은 총 수출의 60%를 차지하며, 정부 수익원의 60%가 석유 이윤으로부터 나온다. 또한 GDP의 30%가 석유 수익이 차지하는 등 바레인은 석유 의존 경제의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다른 GCC 국가에 비해 석유 매장량의 수치가 낮기 때문에 바레인 정부는 석유산업에만 의존하지 않고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대체 에너지 산업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바레인은 이란-이라크 전쟁과 걸프 전쟁을 통해 외국 투자자들에게 바레인을 투자에 적합한 여건을 지닌 나라로 인식되면서, 금융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다. 외국인 소유의 회사들에 대한 완전한 개방을 실시해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였고, 정부는 소기업 및 중소기업의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젊은 인구의 높은 실업률과 급속한 오일 달러의 유입으로 인한 물가상승, 정부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지속되고 있는 석유 의존적 경제구조는 바레인 경제가 장기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이다.
바레인 인구의 66%는 아랍인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아라비아 반도와 이란에 민족적인 배경을 두고 있다. 이들 외에도 아시아인, 이란인, 유럽인 등 총 인구의 1/3가량의 비아랍 출신의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바레인 사회는 이슬람 율법 준수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외국 문화 및 종교에 대해 비교적 개방적인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전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무슬림들 중 다수를 차지하는 종파는 시아파이다. 그러나 주로 임금 노동자로 생활하고 있는 시아파 무슬림들과는 달리 인구의 30%에 못 미치는 수니파 무슬림들이 정부, 군대에 주로 자리잡고 있으며, 정치, 경제 부문의 요직을 대부분을 독점하고 있다.
바레인은 이슬람이 주된 종교이지만, 모스크 근처에 유대교 회당인 시나고그나 기독교, 바하이교, 힌두교 예배소도 존재한다. 바레인은 중동의 문화 중심지라고 불리는 등 다른 걸프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콘서트, 스포츠, 문화 행사 등의 개최가 활발하다. 공연장과 경기장과 같은 시설들이 잘 갖춰져 있고, 오일 달러로 인한 국민 삶의 질 향상과 바레인 토착 중산계급의 문화 소비가 자유로운 사회 분위기와 다양한 공연 문화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바레인 작가들은 아랍 세계에서 가장 많은 책을 출판해 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음악은 바레인인의 삶에서 필수적은 부분을 차지한다.
1913년 | 영국과 오스만 정부는 바레인의 독립을 인정하는 협정을 체결하였다. 그러나 바레인은 영국의 통치하에 남게 되었다. |
---|
1931년 | 캘리포니아 스텐다드 석유 회사(the Standard Oil Company of California, Socal)의 자회사인 바레인 석유 회사( The Bahrain Petroleum Company, Bapco)가 자발 알 두칸에서 석유를 발견하고, 1932년에 생산을 시작하다. |
---|
1939년 | 영국은 바레인과 카타르 사이에 바레인 만에 있는 하와르 섬들이 바레인에 속한 것이며 카타르 것이 아니라고 결정하다. |
---|
1961년 | 셰이크 이사 빈 살만 알 칼리파가 바레인의 통치자가 되다. |
---|
1967년 | 영국이 아덴으로부터 바레인으로 주요한 지역 해군 기지를 옮기다. |
---|
1968년 | 영국은 1971년경에 수에즈의 동부 기지를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하다. |
---|
1970년 | 행정 위원회가 12명으로 구성된 국무 위원회가 되다. 국무 위원회는 통치자의 형제인 셰이크 칼리파 빈 살만 알 칼리파가 의장이 되다. |
---|
1970년 5월 | 유엔 보고서가 바레인인들은 독립되기를 원한다고 발표한 이후, 이란이 바레인에 대한 주권 주장을 포기하다. |
---|
1971년 | 바레인은 독립을 선언하고 영국과 새로운 우호 협정을 체결하다. 셰이크 이사는 초대 아미르(왕)가 되고 국무 위원회는 내각이 되다. |
---|
1971년 | 바레인이 공식적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되다. |
---|
1971년 | 바레인과 미국은 미국이 해군과 육군 시설을 임대하기로 허락하는 협정을 체결하다. |
---|
1972년 12월 | 제헌 의회 구성을 위한 선거가 실시되다. 오직 20세 이상의 바레인 남자들만 투표할 수 있다. |
---|
1973년 12월 | 12월 6일 헌법이 효력을 발생하게 된 이후, 44명(14명은 내각 구성원이고 30명은 남성들이 투표로 선출)으로 구성된 입법 기관인 국민의회 구성을 위한 선거가 12월 7일에 실시되다. |
---|
1975년 8월 | 국민 의회가 정부의 업무를 방해하고 있다는 국무총리 셰이크 칼리파 빈 살만 알 칼리파의 주장에 따라, 아미르가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칙령으로 통치하다. 1981년 5월- 바레인이 걸프 협력 기구(GCC)에 가압하다. 이 기구는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UAE를 포함한다. |
---|
1981년 12월 | 73명의 주민들이 이란 성직자 호자트 올-이슬람 하디 알 무다리시가 이끌고 테헤란에 본부를 둔 바레인 해방을 위한 이슬람 전선의 구성원이라는 혐의로 체포되고 바레인 국경일인 12월 16일에 정부 전복을 공모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
---|
1986년 | 4월에, 키티르 군대가 파시드 알 디발 섬을 점령하였으나,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재로 6월에 철수하였다. |
---|
1986년 11월 |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 본토를 연결하는 파흐드 왕 다리가 개통되다. |
---|
1991년 1월-2월 | GCC 반도 방패군의 일부로, 바레인이 이라크(걸프전)에 대항하는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가하다. |
---|
1991년 7월 | 카타르가 헤이그의 국제사법 재판소에 하와르 섬, 파시트 알 디발, 키타트 자라다에 대한 영토권 주장을 하다. 그러나 바레인이 이 주장들을 거부하다. |
---|
1991년 10월 | 바레인은 항만 시설을 제공하고 합동 군사 훈련을 실시하기로 미국과 방위 협정을 체결하다. |
---|
1992년 12월 | 아미르 임명하는 4년 임기의 30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창설. |
---|
1994년 12월 | 시아파 성직자 셰이크 알리 살만이 12월 5일 체포된 이후 시위가 발생하다. 셰이크 알리 살만은 국민의회 회복을 요구하면서 통치 가문을 비난하다. |
---|
1995년 1월 | 셰이크 알리 살만이 추방되어 영국에 망명을 요청하다. |
---|
1995년 2월 | 바레인은 카타르와의 분쟁에서 국제사법 재판소의 중재를 거부하다. |
---|
1995년 6월 | 내각이 개편이후, 5명의 시아 장관들을 포함하다. |
---|
1995년 9월 | 4월에 체포되었던 시아 성직자인 셰이크 압둘 아미르 알 자므리가 감옥에서 석방되다. |
---|
1996년 1월-2월 | 마나마 상업 지구에서 폭탄이 폭발한 이후, 알 자므리가 1월 18일 다시 체포되다. 수니 법률가이며 시인인 아흐마드 알 샴란이 2월 8일에 감금되었다가, 4월에 석방되다. |
---|
1996년 6월 | 정부는 이란이 후원하는 단체인 헤즈볼라-바레인이 계획한 쿠데타 음모가 발각되었다고 밝히다. 바레인은 이란 주재 대사를 소환하고 공사 대리 수준으로 대표 등급을 내렸다. |
---|
1996년 9월 | 자문 위원회 구성원들이 30명에서 40명으로 증원되다. |
---|
1997년 4월 | 바레인은 바레인 석유 회사(Bapco)를 단독으로 소유하다. |
---|
1998년 2월 | 셰이크 칼리드 빈 무함마드 빈 살만 알 칼리파가 영국인 이안 헨더슨(30년 동안 바레인의 보안정보국장 역임)을 대신하여 보안정보국장이 되다. |
---|
1998년 12월 | 바레인은 이라크 폭격 작전에서 미국과 영국의 ‘사막의 여우 작전’에 군사 기지를 제공하다. |
---|
1999년 3월 | 아미르 셰이크 이사가 사망하고 그의 장남인 셰이크 하마드가 계승하다. 3월 9일에, 셰이크 하마드의 아들인 셰이크 살만이 왕세자가 되다. |
---|
1999년 7월 | 셰이크 압둘 아미르 알 자므리가 10년 징역형을 받았으나, 새로운 아미르가 사면하다. |
---|
1999년 12월 | 카타르 아미르인, 셰이크 하마드 빈 칼리파 알 싸니가 방문하다. 양국은 영토 분쟁 해결을 위한 위원회를 설립하다. |
2000년 9월 | 아미르가 처음으로 비무슬림과 여성을 자문위원으로 임명하다. 자문위원에는 4명의 여성이 포함되는데, 그 중 1명은 기독교인 이다. 유대인 남성 사업가 1명도 자문위원에 포함되다. |
---|
2001년 2월 | 정치 개혁을 위한 국민 투표; 바레인인들은 바레인이 선출된 하원과 독립된 사법부를 갖는 입헌 군주국이 되어야한다는 제안을 압도적으로 지지하다. |
---|
2002년 2월 | 바레인이 입헌 군주국으로 전환하고 여성들이 포괄적인 개혁과정에서 공직에 출마하도록 허락하다. |
---|
2002년 5월 | 지방 선거가 실시되다. 거의 30년 만에 처음 투표였다. 처음으로, 여성들이 투표하고 입후보하였다. 그러나 의석을 얻는 데는 실패하다. |
---|
2002년 10월 | 거의 30년만에 처음으로 의회 선거가 실시되다. 당국은 이슬람주의자들의 선거 거부 운동에도 불구하고, 투표율이 50퍼센트 이상이라고 밝혔다. |
---|
2003년 5월 | 고문 희생자들이라고 주장하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고문자들로 추정되는 사람들을 고소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을 취소해 줄 것을 왕에게 탄원하다. |
---|
2004년 4월 | 나나 하파드가 보건 장관이 되면서 정부 부처를 이끄는 최초의 여성이 되다. |
---|
2004년 5월 | 이라크의 성지들인, 나자프와 카르발라에서의 전투에 반대하는 마나마 항의 시위. 경찰이 이 시위를 막으려고 한 이후, 왕이 내무장관을 해고하다. |
---|
2004년 9월 | 바레인과 미국이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그 움직임을 비난하면서, 이것이 지역 경제 통합을 저해한다고 주장하다. |
---|
2005년 3월-6월 | 수 천 명의 항의 시위자들이 완전히 선출된 의회를 요구하다. |
---|
2006년 1월 | 미국 의회가 미국-바레인 자유 무역 협정을 실행시키는 법안을 승인한 이후에,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가 그 법안이 효력을 발생하도록 서명하다. |
---|
2006년 3월 | 58명의 승객을 태운 유람선이 바레인 해안에서 전복되다. |
---|
2006년 11월 | 야당인 시아파가 총선에서 40퍼센트를 득표하다. 시아 무슬림인 자와드 빈 살림 알 우라이드(Jawad bin Salem al-Oraied)가 부총리로 임명되다. |
---|
2007년 9월 | 수 천 명의 불법적인 외국인 노동자들이 정부의 사면 조치를 활용하다. |
---|
2008년 5월 | 유대인 여성, 후다 노누(Houda Nonoo)가 미국 주재 바레인 대사로 임명되다. 그녀는 아랍세계 최초의 유대인 대사다. |
---|
2008년 12월 | 정부당국은 바레인 국경일에, 수제폭탄을 폭파시킬 계획을 한 것으로 알려진 몇 몇 사람들을 체포했다. |
---|
2009년 4월 | 국왕이 국가 안보를 위험에 빠뜨렸다는 죄목으로 기소된 170명 이상의 수감자들을 사면하다. 이 중에는 국가 전복 혐의로 기소된 35명의 시아들이 포함된다. |
---|
2010년 9월 | 20명의 시아파 야당 지도자들이 폭력적인 시위와 사보타주를 조장함으로써 군주정을 전복시키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비난받고, 선거 준비 기간 중에 체포되었다. |
---|
2010년 10월 | 의회 선거에서 주요한 시아 야당인, 이슬람 국민 합의 협회(Islamic National Accord Association)는 적은 득표를 했다. |
2011년 2월 | 이집트에서 통치자들을 넘어뜨린 대중 시위에 의해서 영감을 받아서, 수 천 명의 시위자들이 마나마에 모이다. 보안대가 단속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시위자들이 사망하다. |
---|
2011년 3월 | 사우디 군대가 앞으로의 소요에 대비해서 파견되다. 정부당국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민주화 운동을 하는 활동가들을 강경하게 탄압하다. 시위 금지조처에도 불구하고, 항의 시위가 계속되다. |
---|
2011년 4월 | 정부가 시아 다수파를 대표하는 두 개의 주요 정당을 금지하다. |
---|
2011년 9월 | 시위자들 대한 폭력적인 탄압에 반대하면서 의회를 떠난 시아 야당 출신 의원들을 대체할 선거에서 낮은 투표율을 기록하다. |
---|
2011년 11월 | 정부는 보안대가 민주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서 과도하게 무력을 사용했다는 것을 인정하다. |
---|
2012년 2월 | 무너진 진주 광장에서 지난 해 대중 시위에 대한 탄압 기념으로 시위를 하려는 반대파를 좌절시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위자들은 봄에 시위를 재개하다. |
---|
2012년 4월 | 반정부 시위 중에도 세계 최고의 자동차 경주대회가 바레인에서 열리다. |
---|
2012년 5월 | 주요한 야당 활동가인 압둘 하디 알 카와자(Abdulhadi al-Khawaja)가 3개월 동안의 단식 투쟁을 끝내다. 군사 법정은 ‘국가 전복 음모’죄로 그에게 2011년 종신형을 선고했다. |
---|
2012년 6월 | 반정부 시위에 참가한 20명의 의사들에 대한 장기 투옥 선고를 일부 번복하도록 법정에 호소. 9명은 무죄로 되고, 나머지는 훨씬 더 단기간의 형량을 받았다. |
---|
2012년 8월 | 인권 활동가인 나빌 라잡(Nabeel Rajab)이 ‘불법 집회’에 참가한 죄로 3년 형을 받고 투옥되다. 산발적인 반-군주정 시위가 계속되다. |
---|
2012년 10월 | 수천 명이 민주화 시위에 참가하여 투옥되었던 알리 아흐마드 무사이마(Ali Ahmed Mushaima)의 장례식에 참가한 이후, 마나마에서 시위자들과 경찰 기동대가 충돌하다. 시위자들은 정부 당국이 그의 악설 빈혈 치료를 거부했기 때문에 그가 사망했다고 주장하지만, 정부 당국은 그 책임을 부인한다. |